DB (169) 썸네일형 리스트형 RF (Radio Frequency) 를 이용한 전력 전송 RF (Radio Frequency) 전기의 한가지 성분인것 같음. 이 성분을 이용하는 기계가 꽤 있는데. 아주 드물게 드물게 디스플레이, 반도체용 기계에서도 사용하는것 같음. Koreascience.or.kr http://www.koreascience.or.kr/main.page 무슨 학술지들이 공유되는 사이트 인가 봄. 무슨 생각으로 이런 사이트를 만들어서 기술 자료를 공유하는지 모르겠음. 전원설계 관련 사이트 전원 설계 기술정보 사이트 https://techweb.rohm.co.kr/knowledge/ 대단히 좋은 사이트인것 같다. 배울게 너무 많고, 다른 곳에 비해 쉽게 작성된 글이 많다. 복사 열전달 복사 열전달 1. 복사 두 개의 물체 사이에 진공일 경우라도 빛과 열에너지가 전자파의 형태로 물체로부터 복사되는데 이런 현상을 전자복사라 하며 이것이 물체에 도달하여 흡수되면서 열로 변하는 현상을 복사열 전달이라 한다. 2. 스테판 볼쯔만의 법칙 (1) 스테판 볼쯔만의 법칙1 반사율을 r, 흡수율을 a, 투과율을 t라면 r+a+t=1 고체물체는 열복사를 투과하지 않는다면 t=o 입사에너지를 모두흡수하면 즉 a=1,r=0일 때 완전흑체라 한다. (2) 스테판 볼쯔만의 법칙2 완전 흑체면의 복사체에만 적용 흑체가 아닌 물체의 복사도E는 E= εEb (ε:복사율) 대류 열전달 대류 열전달 보일러 열교환기 등에서와 같이 고체의 표면과 이에 접하는 유체(액체 또는 기체) 사이의 열의 흐름 종류 : 자연대류 열전달 : 유체내의 온도차에 의한 밀도차만으로 전달 강제대류 열전달 : 펌프.송풍기 등에 의하여 전달 열전달량 대류에 의해서 일어나는 전열량 Q는 뉴턴의 냉각법칙에 의한다. Q = αA(t-tw)(㎉/hr) t : 유체의 온도(℃) tw : 고체의 온도 α: 대류 열전달 계수(㎉/㎡hr℃) 대류의 열전달 계수 정지된 공기 3 ∼30 유동하는 공기 10 ∼500 유동하는 물 200 ∼ 2000 비등하는 물 4000 ∼6000 응축하는 증기 7000 ∼12000 공기층의 열전달 벽 사이에 공기층을 두어 열저항을 증가시키고, 수분침입을 막아주는 공기층의 열전달량 Q는 여기서 C를 컨.. 전도 열전달 전도 열전달 열을 가하면 가까운 부분에서 먼 부분으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으로 고체의 내부 및 정지유체의 액체, 기체와 같이 물체 내의 온도 구배에 따른 열 전달 프리에의 열전달 법칙 여기서 (-)부호는 열이 온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흐른다는 의미를 한다. Q : 단위시간당 흐르는 열량 k : 열전도율 (㎉/mhr°C) A : 전도 전열면적(㎡) dT : 거리 만큼 떨어진 두면 사이의 온도차 (°C) 평면벽을 통한 열전도 평면벽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정상 상태하에서 흐르는 열량 Q는 다층벽을 통한 열전달 원통을 통한 열전달 원통이나 관내에 열유체가 흐르고 있을 때 열전달이 관의 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이루어 질 때 전 열량 Q는 증기의 열적 상태량 / 물의 3중점 증기의 열적 상태량 b에서 증발하기 시작하여 C에서 액체전부가 증발이 끝나고 다시 가열하면 체적이 증가하고 온도가 다시 상승하면 d에 상당하는 과열증기 상태가 되며 압력이 높을수록 증발열은 임계점에 도달하여 결국 임계압에서는 0가 된다. 물의 3중점 OT : 승화곡선 TA : 융해곡선 TK : 증발곡선 T : 3중점으로 고체, 액체, 기체가 동시 존재하면서 서로 평형을 유지 (온도와 이에 대응하는 압력에 의한 상태점) K : 임계점으로 K점 이상의 온도와 압력에서는 액체와 기체와의 구별이 없어진다. 물의 3중점 (= 0.01 ℃, 0.001n3/kg, 0.0623kg/cm2 ) 증기표 (1) 온도기준 포화 증기표 온도 t ℃를 기준으로 그 온도를 포화온도로 하는 포화압력 P, 포화수의 비체적 v', 포화.. 증기의 성질 증기의 일반적 성질 일정량의 물을 760 ㎜Hg의 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가열해가면 물의 온도는 상승하면서 물의 체적이 약간 증가함. 물의 온도가 100 ℃ 가 되면 물은 증발을 시작하고 증발하는 동안 물의 온도는 변하지 않으며, 물이 전부 증발할때까지 일정 온도를 유지함. 이와 같이 상이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온도 상승의 한계(100 ℃)를 포화온도라 하며, 그때의 압력을 포화압력이라 한다. (1) 정압상태에서 증발상태 (2) 증기의 등압선(P=C) P-V선도에서 정압하의 증발은 수평한 직선 abc로 표시되며 상당하는 변화는 T-S 선도에서는 곡선a1,b1,c1,d1 으로 됨. 그리고 최초상태 a1에서 가열하면 온도가 상승하여 체적이 팽창하여 P1등압선상의 오른쪽으로 이동 b1어떤 온도에 달하면 상승 .. 이전 1 ··· 5 6 7 8 9 10 11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