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17)
알루미늄(Aluminum)이란? Alloy Group Material 특성 1000 순 Al 로서, 내식성이 좋고, 광의 반사성, 열의 도전성이 뛰어남. 강도는 낮지만 용접 및 성형가공이 쉽다고 함. 2000 Cu 를 주첨가 성분으로 한 것에 Mg 등을 함유한 열처리 합금. 열처리에 따라 강도는 높지만 내식성 및 용접성이 떨어지는 것이 많음. (단 2219 합금의 용접성은 우월하다.) Rivet 접합에 의한 구조물, 특히 항공기재로서 이용됨. 3000 Mn 을 주첨가 성분으로 한 냉각가공에 의해 각종 성질을 갖는 비열 처리 합금. 순 Al 에 비해 강도는 약간 높고, 용접성, 내식성, 성 형 가공성 등도 좋음. 4000 Si 를 주첨가 성분으로 한 비열처리 합금. 용접 재료로서 이용됨. 5000 Mg 를 주첨가 성분으로 한 강도가 높은..
Galvanic Corrosion(이종금속부식 - 갈바닉부식) Galvanic Corrosion(이종금속부식) 두 이종금속(異種金屬; dissimilarmetal)이 용액 속에 담구어지게 되면 전위차(電位差)가 존재하게 되고 따라서 이들 사이에 전자의 이동이 일어난다. 그리하여 귀전위(貴電位: noble potential)를 가진 금속의 부식속도는 감소되고 활성전위(活性電位', active potential)를 가진 금속의 부식속도는 촉진된다. 즉 전자는 음극이 되고 후자는 양극이 된다. 이러한 형태의 부식을 갈바닉부식 또는 이종금속접촉부식(異種金屬接觸腐蝕)이라 한다.이와 같이, 두 이종금속(異種金屬) 사이의 가역전위 차이(可逆電位差異: reversible potential difference)는 갈바닉부식의 기전력(起電力)이 되며 부식 경향을 예측하는 기준이 된다..
부식발생 조건 부식발생 조건 1. FIVE ELEMENTS OF CORROSION a. Electronic σ(Conductor) b. Ionic σ(Conductor) c. Anodic Reaction d. Cathodic Reaction e. Closed loop (ex, painting하는 것은 회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 Electronic σ와 Ionic σ사이에는 Charge Transfer Reaction(CTR, electron transfer)이 있어야만 한다. - 통상 일반적인 (+) → (-)방향으로의 전류(conventional current flow, i 의 흐름은 부식발생시에는 금속과 전해질에서 각각 다음과 같다. 1) 금속내부에서의 전류흐름은 음극(cathode, -)에서 양극(anode,..
부식의 전기화학적 반응 - 기본원리 부식의 전기화학적 반응 - 기본원리 금속의 부식은 고온하에서 일어나는 건식(dry corrosion)과 수중이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일어나는 습식(wet corrosion)으로 대별할 수 있다. 수중이나 지중의 금속구조물은 전위가 다른 이종금속재의 조합이 많고, 동일금속재라고 하더라도 가공차나 응력과 환경의 차(差)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그 사이에는 이종금속전지, 농도차전지, 온도차전지 등이 단독 혹은 복합해서 부식전지를 형성하고, 그 전위가 낮은 양극부분이 부식되며, 그에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서 부식이 가속된다. 부식은 기본적으로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그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Electrochemical Process(전기화학) in Corrosion ; Zn in Aci..
기타부식 용융염이나 용융슬랙 중에서의 부식-전기화학적 기구 이들 매체 중에서의 금속부식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들 부식매체가 전해질이기 때문에 그 부식기구는 전기화학적 기구일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러한 염이나 slag의 액체층에 산소 또는 Mo및 V와 같은 산소 운반자가 존재하게 되면 부식성이 더욱 커져서 소위 가속산화(catastrophic oxidation)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건조기체(공기, 매연, 고온에서의 수증기) 중에서의 부식(산화)-화학적 기구 완전히 형식적인면에서 본다면 이 건식(dry corrosion) 조차도 galvanic 전지에 있어서 전극과정의 결과로 일어나는 전기화학적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금속/산화물의 계면은 anode로서 작용하며(반응..
콘크리트 부식 (철근의 부식) 콘크리트 부식 (철근의 부식) 콘크리트 부식이란 콘크리트 자체의 물리적 특징이 퇴화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라는 환경 하에 있는 철근의 부식을 의미한다.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들이 파손되는 대부분의 원인이 철근의 부식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조건하에서는 콘크리트(시맨트 몰탈)내 철근의 부식은 일어나지 않는다. 시맨트 몰탈내에서는 가수분해가 일어나며, 사용된 시멘트의 약 30%가 Ca(OH)2로 변하여 오염되지 않은 시멘트에 의해 완전히 둘러 쌓인 강 (steel)은 pH 12이상의 강한 알칼리성 분위기에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E-pH 선도(Pourbaix diagram)에서 알 수 있듯이 강의 표면에는 철의 3가 산화물 (Fe203) 피막이 매우 얇게 형..
토양 부식 토양 부식 아래 표는 토양 중에서의 부식이 대기 중에서 보다 더 잘 일어나며 때로는 해수에서와 같은 정도로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토양 중에서의 부식성은 주로 그 토양의 전기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토양중의 저항이 낮다는 것은 부식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저항이 낮다는 것은 수분이나 가용성염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두 인자는 부식반응을 촉진한다. 또 이것은 부식전류를 더 쉽게 흘려 준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나 아주 깊은 곳에서는 산소의 공급이 적기 때문에 부식이 제한된다. 그러나 산소가 없다 하더라도 소위 황산염환원 박테리아(sulfate reducing bacteria)라고 부르는 효소에 의해 부식속도가 커질 때도 있다.  구분부식 (µm/10년)공기..
대기 및 고온 부식 대기 및 고온 부식 1. 대기부식의 특징 일반적으로 대기부식은 두 가지 인자(因子), 즉 산소와 수분(액체의 물)의 작용이 서로 조합되어서 나타나는 결과이다. 만약에 이 두 가지의 인자 중에서 한 가지만 없어도 부식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빙점(氷點) 이하나 혹은 상대습도가 60%이하인 건조한 곳에서 강은 녹이 쓸지 않는다. 따라서 극지방(極地方)이나 더운 사막에서의 부식은 무시할 정도로 적다. 또 난방된 실내와 같이 건조한 곳에서 강은 녹이 쓸지 않는다. 그러나 난방하지 않은 가옥에서는 습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녹이 쓸게 된다. 대기부식은 굴뚝 가까운 곳이나 바닷가에서 처럼 매연, 특히 화석연료(化石燃料)로부터 나오는 이산화유황(二酸化硫黃) 또는 부식성염(腐蝕性鹽)으로 오염된 공기에 의해 크게 증가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