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17)
부식 연구 역사 부식연구의 역사 부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온 역사를 살핀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인류가 처음 사용한 금속은 자연 그대로의 것이거나 또는 물리적 분리방법으로 쉽게 금속원소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금속들은 쉽게 부식되지 않으므로 부식 문체가 커다란 문체로 야기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철(iron)을 사용하게 된 이후로 부식 문제가 크게 두드러지게 되었다. Austin(1788)은 처음에 중성이던 물이 철과 작용하게 되면 알칼리성으로 될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았다. 그는 이 원인을 지금 우리가 암모니아라고 부르는 화합물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옳지 못한 판단이었다. 대부분의 염수(鹽水; saline water)에서 생성된 알칼리 반응은 전기화학부식과정(電氣化學腐蝕過程: elec..
부식과 방식의 경제성 부식과 방식의 경제성 부식연구의 중요성은 3가지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경제적인 측면이다. 파이프, 물통, 기계, 선박, 교량, 기타 여러 용도에서 부식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은 막대하다. 두 번째는 작동 기기의 안전성 향상이라는 측면이다. 부식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무서운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 예로는 보일러, 터빈 blade, 교량, 케이블, 항공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세 번째는 보존성(保存性)의 문제이다. 이것은 주로 금속의 자원 문제를 의미하는데 이 지구상에 금속 자원의 매장량은 한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금속의 부식으로 인한 손실은 금속의 생산 및 제조와 관련된 에너지의 손실을 의미하기도 한다. 우리가 부식에 관해 현실적으로 가장 관심을 가지는 것은 경..
비파괴검사 - 국제표준화기구 규격 (ISO) 국제표준화기구 규격(ISO) : 비파괴검사 1. General(공통) ISO 9712-1999 Non-destructive testing -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of personnel. (비파괴시험 - 기술자의 자격인정 및 인증) ISO 11484-1994 Steel tubes for pressure purposes -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of Non-destructive testing(NDT) personnel (압력용 강관 - 비파괴시험기술자의 자격인정 및 인증) ISO 6520-1-1998 Welding and allied processes - Classification of geometric imperfections in ..
비파괴 검사 - 한국산업 규격 (KS) 한국산업규격(KS) : 비파괴검사 1. 공통 KS B 0550-1996 비파괴시험 용어(2001.10.30.확인) KS B 0888-1999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검사방법 KS W 0915-1985 항공 우주용 비파괴검사원의 기량인정기준 KS B ISO 9712 : 2001 비파괴검사-기술자의 자격인정 및 인증(2001.12.4 제정) 2. 방사선투과검사 kS A 4054-2000 방사선 투과 시험용 투과도계 KS A 4727-1997 공업용 X-선 발생장치에 대한 유효초점치수의 측정방법 KS A 4905-1981 방사선용 필름 카세트 KS A 4918-1994 공업용 방사선투과사진 관찰기 KS A 4921-1995 공업용 r-선 장치 KS B 0845-1999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시험방법 KS D..
용적식 유량계 용적식 유량계 A. 용적식 유량계 원리 a) 개요 용적식 유량계는 액체용과 기체용이 있고 계량법상 적산 유량계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유량측정방법은 내부 회전자나 피스톤등의 가동부와 그것을 싸는 케이스와의 사이에 일정 용적의 공간부를 밸브로 하고, 그 속에 유체를 충만시켜 그것을 연속적으로 유출구로 송출하는 구조로서 그 계량 횟수에서 용적유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즉, 용적식 유량계는 타 유량계에 비하여 직접 체적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계량 정도가 높음에 따라 공업 계기용으로 부터 가정의 가스 소비량 및 주유소의 판매기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최근 센서기술의 발달로 계수기 전자화를 통한 고기능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b) 측정원리 케이스와 가동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량 공간부 형식에 따라 회전자형..
면적식 유량계 면적식 유량계 A. 면적식 유량계 원리 차압유량계는 유체의 유동통로가 고정되어 있으며, 조리기구 상하류에서 측정된 차압이 유량과의 함수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면적식 유량계는 유체의 통로가 유량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때, 플로트 상하의 압력차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진다. 즉, 면적식 유량계에서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면적 변화가 유량의 함수이기 때문에 테이퍼관을 사용하면 유량과 유로면적 변화를 선형인 관계로 만들수 있다. 면적식 유량계 종류로는 여러가지이나 가장 간단한 형태의 면적유량계는 다음 그림과 같이 테이퍼진 투명한 유리또는 플라스틱 관과 관내를 수직으로 움직이는 플로트로 구성되어 있다. 유체가 관의 하부로 흘러 들어오면 플로트는 위로 상승하게 되고 플로트에 작용하..
프로이 - 재료 물성 파일 (Material Specification for Pro E) Pro Engineer / Wildfire - Matirial files
공기압 시스템의 특징 및 주요 용도 공압 시스템(Pneumatic system)의 특징 1. 구조가 간단하므로 설치비용 및 보전비용의 절감이 가능. 2. 낮은 압력을 사용하고 있어 유압에 비해 출력이 작으므로 경량작업에 최적. 3. 압축성이 있기 때문에 탱크 등에 에너지를 축적하여 비상시에 사용이 가능한이점이 있는 반면, 정확한 정속제어나 중간정지가 곤란. 4. 유체의 저항이 작으므로 고속운전이 가능. 5. 외부에 누출하여도 유압에서와 같은 화제, 환경오염 등의 문제 없음. 6. 공기압 배관은 일반적으로 공장 내에 설비되어 있으므로 에너지원 쉽게 확보가능. 7. 복귀회로가 불필요하므로 유압에 비해 배관작업이 대폭 절감. 8. 사용할 수 있는 온도범위가 -40℃~130℃로서 유압에 비하여 그 범위가 넓음. 구 분 기 계 전기ㆍ전자 유 압 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