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B

(169)
소음작업 소음작업 1. 1일 8시간 작업 기준,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   2. "강렬한 소음작업"이란? 아래 항목중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2.1.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2. 9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3.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4. 10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5. 11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30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6.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5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3. "충격소음작업"이란?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작업, 아래 항목중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 3.1. 12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만회 이상..
안전개념 Safety-I vs Safety-II 안전개념 Safety-I  vs Safety-II 1. Safety-I  1.1. 사고 상황에 집중, 사고 원인을 찾고 개선 1.2. 실패를 최소화하거나 실패 원인이 발생 방지에 집중. 1.3. 사고 발생 방식에 대한 모형(선형적 인과관계에 기반한 사고모형)을 가정  1.4. 순수하게 기술적 요소로만 구성된 시스템에서 강점을 보임 1.5. 사회-기술적시스템(Socio-Technical Systems)에서는  한계를 보임 2. Safety-II 2.1. 사고와 같은 실패 사례에서 원인을 찾기(Safety-I) 보다, 성공적 작업사례 분석을이용하여 Safety-I의 한계 극복. 2.2. 선형적 인과관계를 통한 분석(Safety-I) 이 아닌, 일상적인 작업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측하지 못한 변동성을 비선형..
소화의 분류 소화의 분류 0. 소화  (연소의 반대) : 연소의 4요소, 가연물, 산소, 열(점화에너지), 연쇄반응이 성립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것 0.1. 물리적 소화(Physical Extinguish): 냉각, 질식, 제거소화 0.2. 화학적 소화(Chemical Extinguish): 억제(연쇄반응차단)소화 1. 냉각소화 1.1. 열적 균형을 깨뜨려 온도를 낮춤, 이를 통한 점화에너지 제거. 1.2. 비열이나 증발잠열이 큰 물질을 이용, 열을 흡수하거나 기화열에 의해 열을 탈취 1.3. 냉각 소화약제: 물, CO2 등을 사용   2 질식소화 (희석소화) 2.1.  산소를 차단, 산소농도가 15% 이하가 되면 연소 지속 불가 2.2.  CO2, 포말, 물 분무설비 및 수계(水系)소화설비는 보조적으로 수증기에 의..
하인리히의 법칙 하인리히의 법칙 중상 (Major Injury) 1건 경상 (Minr Injury) 29건 재해로 연결되지 않은 사건 (No Injury Accident) 300건   0. 윌리엄 하인리히 1. 미국 보험사 트래블러스의 위험관리부서에서 근무 2. 가입자의 사고를 예방해서 보험사의 손해율을 낮추는 업무 담당 3. 회사에 접수된 수많은 사고자료 검토, 1:29:300이라는 통계 법칙 발견  4. 1건의 큰 상해사고가 발생하면, 그 전에 같은 원인으로 29건의 작은 상해 사고가 발생하고, 상해를 입을 뻔한 300건의 무재해 사고가 발생 5. 별 피해 없이 지나갔다고 간과한 작은 사고들이 쌓이면 결국은 큰 사고가 언젠가 발생
거대 언어 모델 추론 연산 가속 AI 반도체 개발 (LPU) LPU 개발 > 챗GPT 가성비 2.4배 높이는 반도체 > KAIST 연구진 > 메모리 대역폭 사용 극대화 > 연산 속도 가속 엔진 > 자체 네트워크 시스템 내장 >엔비디아 A100 기반 슈퍼컴퓨터보다 대비 고성능 >> 50% 가량 성능 향상 >> 2.4배 가격대비 성능 강화 * 챗GPT 연산시 사용되는 파라미터 : 1750억개 ** GPT-1 : 1억개 ** GPT-2 : 15억개
Loss Tangent Loss Tangent Dielectric Loss 손실 탄젠트 유전 손실 유전 정접 유전체 손실 교류 또는 전자기파의 매질 내 손실 - 유전 손실 (Dielectric Loss) : 유전체 내에서 교류성 전계(또는 전자기파) 전력 손실 - 전도체 손실 (Conductor Loss) : 불완전 도체 내에서 저항,표피효과 등에 의해 교류(또는 전자기파) 전력 손실 ※ Remark - 대부분 물질은 유전체 또는 불완전 도체(유한한 도전율) 특성 일부를 지님 - 따라서, 전자기파 손실 관점에서 유전 손실 및 전도체 손실은 명확히 구별되지 않음 - 일반적으로, 저주파대역에서는 전도체 물질로, 고주파대역에서는 유전체 물질로 보임 예) 땅(대지), 물 등이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반응 손실 탄젠트(Loss Tange..
3차원-나노라티스 구조 커패시터 3차원-나노라티스 구조 커패시터 * 메타구조 커패시터 : 도체에 다량의 전하 저장하는 축전기 3차원-나노라티스 구조 커패시터 + 반복 압축변형 환경에서 초저유전율(1.5 이하 낮은 유전 상수) 유지 + 절연파괴 강도 회복 지속 = 슈퍼컴퓨터, 광대역 무선통신, 고전압 장치적용 가능 * 3차원 나노라티스 3차원 레이저 식각 및 원자층 증착 기술 이용한 세라믹 나노튜브가 단위 셀 형태로 규칙 배열된 메타물질
논문검색 사이트 : SCI-HUB https://sci-hub.se/ Sci-Hub: to remove all barriers in the way of science sci-hub.s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