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B

(169)
공조형 Heat Exchanger - 코일 설계 STEAM 코일 1. STEAM 코일 용도 대형 건물이라든지 설비 자체가 큰 곳은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STEAM을 이용한 가열코일 을 많이 사용한다. 온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건물내의 배관크기가 작아지나 고압이므로 안전의 문제가 있고 소음이 심하다. 2) STEAM 코일 형상 3) CALCULATION FACTOR a. AIR VOLUME 코일을 통과하는 풍량 b. COIL ENTERING AIR CONDITION 코일입구쪽의 공기의 상태 c. COIL LEAVING AIR CONDITION 코일출구쪽의 공기의 상태 d. COOLING CAPACITY 실내부하량 e. COIL FACE AREA 코일을 통과하는 풍속.(여기서는 미리어느정도 크기를 결정하기위해 사용한다.) f. AIR VELOCITY 실제..
공조형 Heat Exchanger - 코일 설계 냉온수 코일의 설계 1) 냉온수 코일 용도 대형건물 이라든지 설비 자체가 큰곳은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냉온수을 이용한 냉각코일을 많이 사용한다. 1차 열원을 냉동기를 이용하여 냉각시킨후 비열을 높은 물을 이용하여 간접냉각하는 방식이다. 2) 냉온수 코일 형상 3) CALCULATION FACTOR a. AIR VOLUME 코일을 통과하는 풍량 b. COIL ENTERING AIR CONDITION 코일입구쪽의 공기의 상태 c. COIL LEAVING AIR CONDITION 코일출구쪽의 공기의 상태 d. COOLING CAPACITY COIL 부하량 e. COIL FACE AREA 코일을 통과하는 풍속. (여기서는 미리 어느정도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f. AIR VELOCITY 실제 설계된 ..
Heat Exchanger (공조형) - COIL 설계 COIL 설계방법 - 직접팽창코일 1.1) 용도일반공조에서 소형의 장치에서 쉽게 냉각할수 있는 방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처음 초기 투자비는 냉온수 코일보다 적게드나 운전비가 높다. 현재 대형 설비의 경우는 운전비가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1.2) 직접팽창코일의 형상  1.3) CALCULATION 설명a. AIR VOLUME코일을 통과하는 풍량b. COIL ENTERING AIR CONDITION코일입구쪽의 공기의 상태 c. COIL LEAVING AIR CONDITION코일출구쪽의 공기의 상태 d. COOLING CAPACITY증발기가 처리할 수 있는 냉각능력 e. COIL FACE AREA코일을 통과하는 풍속(어느정도 크기(2.3m/s기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f. AIR VEL..
열교환기 (공조용) - 공조용 코일 제조 1. 코일의 제조공정 2. 코일의 구조 2.1. FIN PITCH FPI로 표시되면 1 inch당 핀매수을 나타낸다. 2.2. ROW 공기흐름 방향쪽으로 코일의 TUBE수을 나타낸다. 2.3. STEP 공기흐름 방향과 직각으로 방향을 나타낸다. 2.4. LENTH 공기흐름 방향과 수평으로 길이를 나타낸다.
코일 구성품의 재질 및 용도 1. 핀 (Fin) 1.1. 핀이란 핀 튜브형 코일에서 튜브표면의 열효율을 증대시키기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에는 평판의 핀이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열효율을 증대시키기위해 여러가지 형상이 있으나 3/8"와 1/2은 LOUVER핀을 사용하고 있고 5/8경우는 코루게이트(CORRUGATE)핀을 사용하고 있다. 1.2. 핀의 재질 제작가능한 핀의 재질은 알루미늄과 동이다. 동은 가공된 핀을 구입하여 사 용하고 있다. 가장많이 쓰고있는 알루미늄 규격은 다음과 같다 관외경 폭 두께 비고 3/8 278mm 0.12mm ROLL 1/2 344mm 0.12mm ROLL 5/8 282mm 0.14mm ROLL 알루미늄핀에는 청칼라핀과 BEAR핀 등의 두 종류가 있다. 청칼라핀은 주위조건이 나쁜곳 즉 비 바람이 치는 옥외형..
열교환기 (공조용) - 공조용 코일의 종류 1.공조용 코일의 종류 1.1. 건코일(DRY COIL) 코일표면의 온도(tc)가 입구공기의 노점온도인(t1")보다 높은 경우 현열변화만한다. 1.2. 습코일(WET COIL) a.코일표면의 온도(tc)가 통과 공기의 노점온도 보다 낮은 경우 현열 및 잠열변화를 한다. b.습코일은 수직또는 경사지게 설치하여 응축수의 수막으로 인한 공기저항의 증가나 전열저항을 방지한다. c.공기의 코일통과 풍속이 2.5m/s이상이되면 결로한 물방울이 비산하여 덕트 또는 실내로 반송될 우려가 있으므로 엘리미네이터를 설히하여 물방울이 튀는 것을 방지한다. 2.코일의 용도 및 열매에 의한 구분 구분 명칭 용도 용도 공기냉각코일(cooling coil) 냉방용 공기가열코일(heating coil) 난방용 공기냉각,가열공용코일(c..
전자 실드 (EMI Shield) 전자 실드 (EMI Shield) • 개구부의 전자 실드 대책 함체 내부는 운용시 조작부가 존재하고 함체에 개폐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개폐부는 전자 실드부재를 이용하거나, 또는 반사에 의한 노이즈를 감쇠시키는 구조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방열용 개구경은 전자 실드와 방열성의 양립이 필요하다. 공기가 통하는 길을 확보하고, 또한 필요 개구면적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개구형상에 대해서 전자 실드특성은 직경이 작은 구멍을 다수 배열하고 개구면적을 실현한 쪽이 전자 실드 효과가 크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에 장치 기본 클록의 고조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개구경의 선정을 행하고 있다. • 필터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전자 실드 대책 함체에 의한 전자 실드 대책은 노이즈 억제책으로서는 매우 효과가 있으나 폐해도 있다. 그..
전송장치의 함체 (Case, 금속 캐비넷, Enclosure) 특징 전송장치 현황 정보통신 환경이 고도화되면서 전송장치를 수용하는 함체 구조도 크게 변화되고 있다. 전송장치는 크게 액세스계 가입자장치와 기간계 장치로 나눌 수 있다. 액세스계 가입자 장치는 다기능화/고밀도화가 진행되고, 또한 설치환경/서비스의 다양와 경향에 따라 개별환경 요구에 맞는 함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그동안 요구에 없었던 전자환경의 실현이 필요하다. 기간계 장치에서는 고속화/고밀도 실장화가 진전되면서 수용회선수/장치의 총발열량 등이 증가하고 케이블의 수용 방열성과 EMI 대책의 양립이 필요하다. 1. 액세스계 가입자장치 장치에 따라 적용환경/수용회선수의 변수가 달라지며 함체도 이에 따라 개별 설계를 행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금속 함체를 이용하여 전자실드를 실현하고 있지만, 개폐부의 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