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17)
밸브의 분류 및 선정방법 밸브의 분류 및 선정방법 1. 서론 계장시스템에 있어서 조작부는 조절계 조작량을 받아 기계적인 양으로 바꾸어 제어대상을 움직이는 부분이며, 마치 조절계가 사람의 두뇌라고 한다면 조작부는 사람의 팔, 다리에 속하는 것이다. 조작부 주요기능은 제어계에 있어서 최종제어 구성요소로서 ,유량,압력, 속도를 조절하며, 유체의 방향 전환,유체 유송 및 차단 역할을 담당하는데 조작부는 본체부,조작부,보조기기로 나누어 진다. 밸브 본체부는 본체를 구성하는 구조물을 밸브 본체라 하며, 밸브의 윗덮개를 상개, 유체 유로를 열었다 닫았다 하는 부분을 Trim (Plug 또는 Seat)이라 한다. 조작부는 다이야프램,스프링,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밸브 윗부분 (또는 밑부분)으로 공기가 들어오면 다이야프램에 압력이 가해져 스프..
금속분말 사출성형법 (Metal Injection Moulding Process) 금속분말 사출성형법 (Metal Injection Moulding Process) 근래, 삼차원 복잡형상 금속부품의 제조방법으로서, 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 : Metal Injection Moulding Process)가 주목받고 있다. MIM법에 의하면 삼차원 복잡형상의 금속부품이 정밀도 가 좋아 대량생산 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성장이 예견되고 있다. 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 : Metal Injection Moulding Process)은, 플라스틱 산업에서 오랫동 안 배양된 사출성형(Injection Moulding) 기술과 분말야금산업에서 발달한 금속분말의 소결기술 양쪽의 이점을 융합시킨 process라고 말할 수 있다. 원리적으로는, 세라믹스 부품의 제조법의 하나인 세라믹스 사출성..
피스톤공기소모량계산 피스톤 공기소모량 계산 공기 소모량을 구하는 식 (계산식) 단동 실린더 V = s * n * (d/4) * 압축비 (1/min) 복동실린더 V = [S+ (D2/4) + S * (D2-d2) / 4 ] * n * 압축비 (l / min) V=공기량 (l / min) S = 행정거리 (cm) n= 1분당의 행정수 행정거리 공압실린더의 행정거리는 2000mm를 넘어서는 안된다. 실린더 직경이 크고 행정거리가 크게 되면 너무 많은 공기를 소비하게 되어 비경제적이다. 행정거리가 크게 되면 피스톤 로드와 파일로트 베아링에 큰 응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좌굴 (bucking)의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피스톤 로드의 직경을 더 크게 해야한다. 또한 행거리 가 커지면 베아링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되므로 피스톤 로드의 안내장..
체크밸브(Check Valve), 셔틀 밸브(Shuttle Valve) 체크밸브(Check Valve) 한쪽 방향으로만 공기를 흐르게 하고 반대방향으로는 흐르지 않는 밸브이다. 일반적인 구조는 밸브몸체를 스프링력에 의해 밸브시트(Valve Seat)에 누르고 있는 것과 고무립(Lip)에 의해 역류하지 않도록 된 것이 있다. 이것은 공기압 회로에서 압력을 유지하고 싶을 때, 역류를 방지하고 싶을 때에 사용한다. 체크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공기가 흐르기 시작할 때의 압력을 크래킹(Cracking)압력이라 하지만 규격에서는 밸브가 열려 일정량의 유량이 흐르는 압력이라 하고 있다. 이 크래킹 압력은 낮을수록 좋고 높으면 회로에 잔류압력이 남아 문제로 된다. 셔틀 밸브(Shuttle Valve) 두 개의 공급포트와 하나의 출력포트를 가진 밸브로서 출력포트가 고압을 공급하는 포트에 반..
방향제어 밸브의 구조 및 작동원리 방향제어 밸브의 구조 및 작동원리 가) 2포트 밸브 1) 작동원리 비통전 상태에서는 스프링 ①, ②에 의해 가동철심 ③, 디스크 ⑥은 아랫방향으로 눌러내려져 있으므로 파일럿 밸브 ④ 및 주밸브 ⑤는 닫혀져 있다. 유체는 IN측에 의해 Pi의 압력 으로 공급되면 디 스크 ⑥에 있는 공급구멍 ⑦에서 유체는 압력작용실 ⑧에 작용되어 Pi=Po 으로 된다. 2) 주밸브가 열린 경우 코일 ⑨에 통전되면 가동철심 ③은 고정철심 ⑩에 흡입된다. 즉 가동철심 ③이 흡인력을 받으면 스프링 ①의 반력 및 파일럿 밸브 ④에 작용하는 유체의 작용력을 이겨 고정철심⑩에 흡착된다. 파일럿 밸브 ④가 열리면 공급구멍 ⑦에 의해 압력작용실 ⑧에 대기하고 있던 유체는 도통구 ⑪→파일럿 밸브 ④→파일럿 구멍 ⑫를 통해 OUT측으로 흐른..
솔레노이드 밸브 (Solenoid valve) 의 구조 솔레노이드의 구조 전자밸브에 공통으로 삽입되는 주요 부분이 솔레노이드다. 솔레노이드는 고정철심, 코일, 플런저(가동철심) 등으로 구성되어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화하는 것이다. 솔레노이드의 구조중 비교적 행정이 긴 것은 T형 플런저로서 철손에 의한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 규소강판을 겹친 구조로 되어 있다. 스트로크가 짧은 것은 I형 플런저 또는 F형 플런저 구조가 일반적이다. 솔레노이드는 사용하는 전원에 따라 교류(AC) 솔레노이드, 직류(DC) 솔레노이드로 분류된다. 방향제어 밸브 링크 공압 시스템(Pneumatic System) - 방향제어밸브 공압 시스템(Pneumatic System)-방향제어밸브 분류 및 특징 방향제어 밸브의 구조 및 작동원리 체크밸브(Check Valve), 셔틀 밸브(S..
공압 시스템(Pneumatic System) - 방향제어밸브 분류 및 특징 공압 시스템(Pneumatic System)-방향제어밸브 분류 및 특징 ① 조작방식에 의한 분류 가) 전자조작방식(Solenoid Valve) 전자석(Solenoid)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조작(전환)하는 방식을 전자 밸브(Solenoid 밸브)라 부르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전자 조작 방식에는 직동형과 파일럿(Pilot)형 두 종류가 있다. 직동형은 전자력 그 자체로서 유체의 흐름을 전환하고, 파일럿형은 파일럿 밸브(일반적으로 3포트 전자 밸브)로 유체 흐름을 전환하며 피스톤 등을 매개체로 하여 큰 조작력으로 변환하여 그 힘으로서 주밸브를 전환하는 것이다. 나) 공기압 조작방식(Air operated Valve) 공기압력에 의해 밸브 몸체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마스터 밸브(Master Valve..
공압 시스템(Pneumatic System) - 방향제어밸브 공압 시스템 - 방향제어밸브 방향제어밸브는 공기의 흐름의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이다. 2종류 이상의 흐름의 형태를 가지며, 2개 이상의 포트가 있는 것을 방향제어밸브라고 한다. 공기압 회로에서 공기압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ON,OFF 제어, 또 공기압을 공급 또는 배출시키는 제어, 또 실린더 등을 왕복 동작하기 위해 공기압의 공급방향을 전환하는 제어 등에서 방향제어를 위하여 전환밸브를 사용한다. 이 전환밸브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종류도 상당히 많다. 그 밖의 방향제어밸브로는 공기압 회로내에서 공기압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한 쪽 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반대방향으로는 흐름을 방지하는 밸브로서 체크(CHECK) 밸브가 있다. 또 공기압 회로에서 OR회로를 구성하기 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