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17)
Diaphram 종류 및 응용 Diaphram 종류 및 응용 가) 비금속 Diaphragm 응용 이상적인 비금속 Diaphragm 은 두께가 Zero이면서 다만 형상이 있는 막 으로서, 유한의 인장강성은 존재하며, 전단감성 및 굴곡성은 Zero인 것이다 실제 사용시는 얇은 고무판상으로 사용하거나 그 표면에 포를 입혀서 사용하며, 이때의 기포는 가압시 강도를 고무는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Diaphragm에 압력이 가해지면 Disc는 금속판이므로 그 면적에 작용된 압력은 곧 힘으로 나타나고 고무막 부분 에서는 팽창구를 형성하게 되며,이때 형성된 구로 인해 나타나는 힘은 구부를 중심으로부터 임의각 θ만큼 떨어 진 미소부분 dθ를 취했을때, dθ 1계의 응력 σ,구부 팽창각을 φ라고 하면 수직 방향으로 나타나는 미소 힘의 원주 방향..
Diaphram 과 Diaphram 압력계의 원리. 측정원리 다이어프램 압력계는 고정시킨 환산형 주위단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있는 얇은 막의 형태(평판형,파형, Capsule형) 로서, 가해진 미소 압력의 변화에도 대응된 수직방향으로 팽창 수축하는 압력 소자이다. 또한 그 압체를 분리하는 역할 및 가압체를 용기로 부터의 외부로 밀봉시켜 주는 역할을 행한다. Diaphragm은 자신의 압력 변형특성을 이용하는 금속 다이어프램과 스프링 같은 탄성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비금속 다이어프램으로 크게 구 분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용도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평판형은 비교적 저압용으로 사용되며 다이어프램 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동심원 물결모양을 만든다. 이 물결모양 무늬는 유압이나 기계적인 압축으로 성형시킨다. 강도는 물결 무늬의 수를 증가시키고..
유량계 설치 유량계 설치 전통적인 유량측정 방법은 유동 상태의 유체와 유동장내에 설치한 기계장치가 상호 작용할때 발생하는 유체 역학적 현상을 관찰하는 것으로 이때 기계장치를 유량계 1차기구라 하며, 1차 기구에서 발생한 유량신호를 감지처리하여 지 시하는 부분을 유량계 2차기구라 한다. 대표적인 기계식 유량계중 한 종류인 차압식 유량계는 유체가 파이브에 설치한 조임부를 통과할때 발생하는 차압을 측정하여 통과유량을 결정하고 터빈미터는 유동장내 설치한 임펄러가 유체의 운동에너지 때문에 회전할때 그 회전수 를 측정하여 유량을 결정한다. 반면, 최근 개발된 유량계중에는 초음파 빔이 유동장 내부의 미세불순물 입자 혹은 난류와 작용할때 발생하는 주파수 변조신호를 분석하거나 초음파 빔의 통과시간 혹은 도플러 효과정도를 측정하여 평..
관로내 유체의 흐름 관로내 유체의 흐름 1) 층류와 난류 관로내 흐름에는 층류와 난류가 있고, 층류는 유체가 관로내를 흐를때 층을 유지한채 흐르는 상태를 말하며, 보통 유량이 적은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이고,난류는 흐름중 와류 등을 발생시키는 흐름으로 유량이 크거나 압력 강하가 적은 경우에 나타난다. 관로중의 일정구간에서 2점의 압력 취출공으로부터 취출된 압력 강하와 유량과의 특성관계을 보면은 압력강하와 유량과 비례하는 범위에서의 흐름을 층류라하고, 유량의 2승에 비례하는 유량이 큰 범위에서의 흐름을 난류라 한다. 실제로 원통형 관내의 유속분포를 측정하여 보면 점도가 높은 경우 관 벽과 유체의 마찰력은 크게 작용함으로 유속분포는 변화한다. 유속이 느릴 때는 점도가 낮은 유체가 흐르는 것과 같은 유속분포를 가진다. 즉, 관로내..
유량 개요 유량 개요 유량(Flow rate)이라 함은 유체의 흐름중 일정 면적의 단면을 통과하는 유체의 체적,질량 또는 중량을 시간에 대한 비율로 표현한 것을 유량이라 칭하며 각각 유체의 체적을 시간에 대한 비율로 표시한 유량 을 체적 유량 (용적유량), 유체의 질량을 시간에 대한 비율로 표시한 질량유량, 유체를 일정시간 동안 흐르는 량을 표시한 유량을 적산유량이라 칭한다. ① 체적유량 : Q = A.v [㎥/s] ② 질량유량 : M = Q.ρ = A.v.ρ [kg/s] ③ 중량유량 : W = Q.ρ.g = A.v.ρ.g [N/s] ④ 적산유량 : G = ∫Q.ρ = ∫A.v.ρ [㎥,kg] A : 단면적 v : 속도 ρ = 밀도 측정 대상인 유체의 분류는 기체,액체,증기,혼합 기체등으로 일반적으로 분류하고 흐름..
쇼트 피닝 (shot peening) 쇼트 피닝 (shot peening) ① 쇼트 볼을 가공면에 고속으로 강하게 두드려 금속 표면층의 경도와 강도증가로 피로한계를 높여주는 가공법이며, 피닝 효과라고 한다. ② 스프링, 기어, 축 등 반복하중을 받는 기계 부품에 효과적이다.
입자 벨트 가공 입자 벨트 가공 ① 숫돌 입자 : 주철에는 A, 강철에는 WA, 비금속에는 C, 초경합금에는 GC 입자를 사용한다. ② 숫돌 입도 : 거친가공은 100번 이하, 정밀 다듬질은 200~400번 정도이다. ③ 벨트 숫돌 : 1000~2000m/min이다.
방전 가공 (electric spark machining) 방전 가공 (electric spark machining) 일감과 공구사이 방전을, 이용 재료를 조금씩 용해하면서 제거하는 가공법이다. ① 가공재료 : 초경합금, 담금질강, 내열강 등의 절삭가공이 곤란한 금속을 쉽게 가공할 수 있다. ② 가공액 : 기름, 물, 황화유 ③ 가공 전극 : 구리, 황동, 흑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