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17)
다이어프램 (Diaphragm) 금속 또는 비금속 탄성체인 막의 압력에 의한 변위(變位)를 링크 ·레버 ·기어 등의 기계적 확대기구에 의해 압력을 눈금판에 지침으로 지시하고, 또는 전기량으로 변환 지시한다. 막의 재료로서는 인청동(燐靑銅) 등의 얇은 평판이 많이 사용되며, 고압용에는 강판(鋼板), 저압용에는 고무 ·플라스틱 등이 사용된다. 아네로이드 기압계나 고도계가 실례(實例)이다.
Galden / FC3283 Galden ? 칠러에 사용되기도 하는 냉매.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음. - 내화학 및 내용제 특성 - 열에대한 안정성 - 절연 특성 - 금속, 플라스틱, 고무류와의 상용성 - 액체나 가스상의 산소와 반응하지 않음 - 내방사성 특성 - 점도지수가 높음 - 불연 특성 - 사용온도 범위가 대단히 넓음 - 증발 감량이 적음 - 내수성 - 저온 및 고온에서의 내마모 특성이 우수 - 윤활 그리이스로의 제조가 용이함 - 환경 친화적임 - 온존파괴지수(ODP)가 '0'임 -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 아님(NON-VOC) - 무독 특성 CF3 - [(O-CF-CF2)m - (O-CF2)n]O - CF3 ㅣ CF3 Galden용액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열전달 효율이 양호함 - 내화학,내열특성 - 무독성 -..
PRO-E 에서, DWG 변환시 선색깔이나, 폰트, 레이어 변경관련. 1. dxf_export.pro 파일이 필요함. 2. Default 파일은 아래 경로에 저장되어 있는데... D:\Ptc\proeWildfire\text\intf_configs Default 파일내용은 쓸모없음. 3. 그리고, config.pro 에서, dxf_export.pro 의 위치가 지정되어 있어야 함. (config.pro 에서 설정 옵션값 : dxf_export_mapping_file) 4. dxf_export.pro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데, 이건 내가 개인적으로 설정한것. ! This is a DXF/DWG export mapping file example. ! It sh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mapping ! color/layer/linestyle/t..
Pro-E 도면 (.drw)를 AutoCAD 도면 (.dwg)으로 변환시....<Scale 문제 해결> Pro-Engineer (Pro-E) 에서 작성된 drawing 을 Auto CAD 도면파일인 dwg로 변환시, Scale 이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Pro-E 에서 작성된 도면 (.drw) 가 dwg 로 저장되는 경우 Scale 이 무조건 1:1 로 지정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를 해결해주는 option 이 있는데, 아래와 같다. dxf_out_drawing_scale yes 이 스크립트를 config.pro 에 입력해주면 깔끔히 해결된다.
Pro-E 설정 : pen_table.pnt 파일 Pen_table.pnt 파일의 위치는? 원래 없습니다. pen table 파일을 생성(예:pen.pnt)한 다음 config.pro에서 pen_table_file 이란 항목을 찾아서 위의 파일을 지정하셔야 합니다. pen_table.pnt 파일이란? 출력시 출력되는 선굵기에 대한 설정 파일임. ! This is a pen table file. See Interface Guide under "pen mapping". ! white entities (object lines) pen 1 color 0.0 0.0 0.0;thickness 0.02 cm; drawing_color ! yellow entities (text, dimensions, cross hatching) pen 2 color 0.0 0.0 0..
Drawing Setup File config.pro 파일에서, drawing_setup_file 위치 지정!!! drawing_setup_file D:\Ptc\Pro_stds\configs\sfa.dtl (현재 사용중인 config.pro 의 설정임) drawing.dtl 파일의 구성. drawing_text_height 3.000000 text_thickness 0.009000 text_width_factor 0.700000 broken_view_offset 1.000000 create_area_unfold_segmented YES def_view_text_height 3.000000 def_view_text_thickness 0.000000 default_view_label_placement BOTTOM_LEFT detail_cir..
작업표시줄의 크기가 재부팅 후 변경될 때 와이드 모니터를 사용하면서 작업 표시줄을 왼쪽/오른쪽에 옮겨놓고 세로 방향으로 사용을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아무래도 가로로 놓았을 때보다 작업표시줄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이 많고 불필요하게 넓은 와이드 화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작업표시줄을 세로로 설정하면 재부팅할 때마다 크기가 한줄씩 줄어들게 된다. (검색해보니 가로 방향도 마찬가지인것 같다.) 매번 수고스럽게 크기를 원상복구 시키다가 오늘 업무용 PC를 포맷하면서 해결방법을 찾아보았다. 내 기도에 응답하신 구글님의 답은 다음과 같다. 제어판 > 날짜, 시간, 언어 및 국가별 옵션 > 국가 및 언어 옵션 > 언어 탭 > 자세히 > 입력 도구 모음 > 바탕 화면에 입력 도구 모음 표시를 해제 재부팅을 해보니...크기가 유지된다! ..
진공펌프의 기초이론 1. 토리첼리의 실험 1643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토리첼리는 유리관과 수은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습니다. 단면적1cm인 한쪽 끝이 막힌 길이 1m의 유리관 안에 수은을 가득 채운 다음, 수은이 담긴 그릇 안에 거꾸로 세우면, 유리관 안의 수은주는 그릇에 담겨 있는 수은의 표면 으로부터 76cm의 높이를 항상 유지 하게된다는 것입니다. 이때 유리관 윗쪽에는 진공상태가 되는데 이를"토리첼리 진공" 이라합니다. 유리관 안의 수은주가 76cm가 되는 것은 수은주의 무게가 그릇에 담긴 수은의 표면에 작용하는 대기의 압력과 균형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이 실험으로 대기압(1기압)은 높이 76cm의 수은주 무게와 같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진공의 측정 단의에 있어서도 기초적인 개념이 되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