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17)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리 게이지(Ionization Gauge) 전리 게이지(Ionization Gauge) 고진공 및 초 고진공에서 사용 (10-2 torr – 10-12 torr) +/- 30% 이상의 오차를 가짐 필라멘트,그리드,컬렉터로 구성 원자나 분자에 에너지를 가하면 전자를 잃고 전하를 띠게 되며, 이 전하를 띤 분자들이 다시 중성이 되기위해 전자를 얻을 때 압력이 측정 필라멘트에서 방출된 전자는 그리드쪽으로 끌리지만 대부분의 전자는 그리드와 충돌하지 못하고 그리드를 계속 회전한다. 회전하는 전자들은 기체분자와 충돌하여 기체분자를 이온화 시키면서 더 많은 전자가 생긴다. 양으로 이온화된 기체 분자들은 컬렉터로 끌리며 이것은 진공 용기내의 비례하여 이온전류를 생성. P=(1/S) x ip/ie( P=압력, S= 게이지 감도,ip는 양이온 전류, ie는 방출전.. 피라니 게이지(Pirani Gauge) 피라니 게이지(Pirani Gauge) 러프한 진공에서 사용 필라멘트의 저항변화를 측정하여 압력으로 변환 가열된 필라멘트와 많은 분자들이 충돌하며, 분자는 필라멘트로 부터 열을 빼앗는데 이 필라멘트의 저항변화로 인한 브릿지 회로의 불균형이 일어나며 이로 인한 전류 출력 값의 변화를 압력으로 표시한다. 기체의 열전도가 기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므로 기체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진다. 진공도에 따른 진공게이지(Vacuum gauge) 구분은 여기있음. 열전대 게이지 (Thermocouple Gauge) 열전대 게이지 (Thermocouple Gauge) 러프한 진공에서 사용 정확성은 높지 않으나 간단하며 광대역의 측정가능 온도를 측정하여 압력으로 변환 가열된 필라멘트와 많은 분자들이 충돌하며, 분자는 필라멘트로 부터 열을 빼앗는데 이 필라멘트의 온도를 측정하여 압력으로 표시한다. 복사를 통한 열손실이 너무 큰 경우 즉, 1 mtorr이하에서는 측정 불가능. 다른 게이지에 비해 응답속도가 느림(열 상승 및 열 하락의 시간이 필요) 진공도에 따른 진공게이지(Vacuum gauge) 구분은 여기있음. 커페시턴스 마노메터 (Capacitance Manometer) 커페시턴스 마노메터 (Capacitance Manometer) 러프한 진공에서 사용 게이지 모델에 따라 상대적인 압력 및 절대적인 압력 측정 가능 정밀도(+/- 1%) 및 재현성이 뛰어나서 표준게이지로 사용 얇은 박판에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에 비례하여 횡경막이 움직이며, 이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가져온다.이는 주파수를 압력으로 변환해주는 회로의 일부분을 변형시켜 압력으로 표시된다. 재료는 인코넬과 스텐인레스 강과 같은 재료로 구성 온도에 민감. 최대값 대비 3-4 제곱까지만 측정 가능 진공도에 따른 진공게이지(Vacuum gauge) 구분은 여기있음. 부르동 게이지(Bourdon Gauge) 부르동 게이지(Bourdon Gauge) 대기압 부근의 압력 측정 정확도는 높지 않으나 간단하고 신빙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서 사용되며 자동차에 사용. 상대적인 압력 측정 +/- 10% 의 오차를 가짐 진공도에 따른 진공게이지(Vacuum gauge) 구분은 여기있음. Vacuum gauge. Vacuum gauge 진공도에 따라서, 사용되는 Gauge 는 각각 다름. Gauge 1개를 가지고, 모든 진공도에 적용하면 편할텐데..... 그런건 없나보다.... 위 차트에 표시되어 있는 Gauge 는 단지 분류용이고, 내가 사용했던 Gauge 가 어디에 속하는지도 사실은 모르겠다. 그냥 저런식으로 구분되어있구나 싶다는 것만 알면 되지 않을까??? 그리고, 저 중에서 특별히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모델이 어디에 속하는지만 알면 될것 같음. 일단 위 차트에 표시된 Gauge 의 간략한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아래를 클릭. 부르동 게이지 케페시턴스 마노메타 (Capacitance Manometer) 열전대 게이지 (Thermocouple) 피라니 게이지 (Pirani gauge) 전리 게이지 (Stan.. 일반 기체의 법칙 아보가드로의 법칙 (Avogadro's law) 표준조건(1 ATM)에서 어떤 기체의 1 몰은 6.023 x 10^23 개의 입자를 가지며 22.4 리터의 부피를 차지하며, 분자량은 1이 된다. 이것을 아보가드로의 법칙이라 함 몰(mole): 동일한 압려과 온도 조건에서 동일한 부피의 기체는 동일한 분자수(아보가드로수)를 갖음 보일의 법칙 (Boyle's law) 기체의 질량과 온도가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와 압력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 V1P1이 처음 상태이고 V2P2가 나중상태라면 다음과 같은 등식이 성립 V1P1 = V2P2 처음 상태의 부피에 처음 상태의 압력을 곱한 것과 같으므로, 부피를 절반으로 줄이려면 압력은 두 배로 늘어나야 한다. 샤를의 법칙 (Charle's law) 온도변화에 따른.. Pro Engineer(Pro-E) 환경설정 - 1. Config.pro Config.pro Pro Engineer - Setting file 이 Config.pro 라는 파일이다. 통상 '컨피그 프로'라고 읽는다. 이 세상에 Pro Engineer 를 사용하는 사람이 100명이라면, 100가지의 config.pro 가 존재할수 있다. 특정 config.pro 를 배포해서, 모든 팀원이 동일한 config.pro 를 사용하는 팀도 드물게 있는것 같다. 그런 팀 내 에서도 자기만의 config.pro 를 따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사람들도 본적 있다. Config.pro 를 통해서 Setting 되는 Pro-E의 구성요소는 너무나 방대해서, 그내용을 모두 적는것은 불가능하다. 이 부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파고들고 싶다면, PTC 에 문의해서 관련 문서를 얻는편이 가장 효과적일 듯하..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