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도체 제조공정 및 장비 특성
구분 |
박막형성 |
식각 |
이온주입 |
|||
플라즈마 CVD |
열CVD |
스퍼터 |
MBE |
|||
도달압력 mbar |
10 -4 |
10 -4 |
10 -8 |
10 -11 |
10 -5 |
10 -8 |
운전압력 mbar |
10 -2∼10 |
0.1∼1(LPCVD) 2∼500(MOCVD) |
10-2∼10-3 |
10-3∼10-8 |
5∼5x10-3 |
10-5 |
기체유량 mbar l/s |
0.5∼100 |
0.25∼100(LPCVD) 1000∼5000(RPCVD) 100∼10000(MOCVD) |
0.1∼1 |
- (고체) 3∼30(기체) |
0.1∼2 |
~1 |
공정기체 예
|
Si(SiH4,SiH2Cl2)+(Ar,H2) |
Ar |
CxHyGa |
CCl4 |
BF3 |
|
배기펌프 |
DP+ |
DP + MBP |
DP+복합TMP/CP |
DP+MBP+ |
DP+ |
DP+TMP |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MBE: molecular beam epitaxy,
LPCDP: low pressure CVD,
MOCVD: metal organic CVD,
RPCVD: reduced pressure CVD;
DP: Dry pump,
MBP: mechanical booster(roots) pump,
TMP: turbo molecular pump,
CP: cryopump
반도체공정 별 가스
식각공정 종류 및 Gas
반도체 주요 제조공정 및 장비 특성
반도체 주요 공정 가스(Process Gas) 및 허용농도
반도체 - 박막 별 적용 Process Gas
반응형